반응형
커피의 품종
커피는 쌍떡잎식물로 꼭두서니(Rubiaceae) 과에 속한다. 커피의 종(species)은 약 60여 가지가 있으며 그중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 코페아 리베리카(Coffea Liberica)를 삼대 원종이라고 하는데 오늘날엔 아라비카와 카네포라 두 종류 정도만 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커피의 3대 원종
-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 아라비카 커피는 동부 아프리카 산악의 삼림지대에서 유래하였고 로부스타에 비해 향과 맛이 뛰어나며 카페인 함량도 절반 정도 수준입니다. 대체로 열대, 아열대의 고지대에서 주로 재배가 되어 로부스타에 비해 재배 조건이 까다롭고 질병에 취약합니다.
-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 - 흔히 로부스타라고 불리는 카네포라는 콩고(Congo)에서 유래하였으며 무덥고 습도가 높은 열대 지역의 저지대에서 잘 자랍니다. 아라비카에 비해 질병에 대한 저항이 강하며 향이 없고 쓴맛이 강하고 카페인 함량도 아라비카 품종보다 약 2배 이상이며 고형 성분도 아라비카에 비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주로 인스턴트커피 제조용으로 사용됩니다. 카네포라는 로부스타가 카네포라 종을 대표하고 있어 카네포라 종과 로부스타 품종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코페아 리베리카(Coffea Liberica) - 리베리카는 아프리카 라이베리아가 원산지로 나무의 키가 커서 재배가 곤란하고 과육이 두꺼워 가공이 어려우며 품질도 일반적으로 로부스타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 아프리카 서부지역과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며 그 생산량은 아주 적습니다.
생두의 형태 비교
아라비카 종의 생두는 다른 원종보다 길쭉한 모양이며 센터 컷이 S자 형태이고 위가 오목한 반면 로부스타는 전체적으로 동그랗고 센터 컷이 l자 형이며 위가 평평한 플랫 형태입니다. 그리고 리베리카는 양 끝이 뾰족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Coff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유통기한 늘리는 최적의 보관 방법 (0) | 2022.05.06 |
---|---|
네추럴커피(Natural coffee)와 워시드커피(Washed coffee)의 차이 (0) | 2022.05.05 |
커피값이 오른 이유 (0) | 2022.04.30 |
아시아 • 태평양 커피의 맛과 특성 (0) | 2022.04.28 |
커피 원산지에 따른 맛과 특성(2-2) (0) | 2022.04.27 |
댓글